티스토리 뷰

5월 2일, 임시공휴일 확정!

정부는 2025년 5월 2일(금요일)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습니다.
5월 1일 노동절과 5월 3일 주말 사이를 연결해
최대 4일간 황금연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죠.

목적

  • 내수 진작
  • 국민 휴식 보장
  • 가정의 달 맞이 가족 단합 기회 제공


임시공휴일, 누구나 쉴 수 있을까?

핵심 정리

  • 임시공휴일은 법정공휴일이 아닙니다.
  • 따라서 민간기업은 의무적으로 쉴 필요는 없습니다.

구체적으로 보면

구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쉬는 여부
공공기관, 관공서 대부분 휴무
대기업 자체 결정에 따라 휴무 가능성 큼
중소기업 사업장 재량에 따라 다름
학교 대부분 휴교(교육청 방침에 따름)
은행 관공서 기준 따라 휴무 가능성 높음

민간기업은 어떻게 될까?

  • 회사가 '공휴일에 관한 규정'에 따라 임시공휴일도 휴일로 정했을 경우 쉼
  • 별도 규정이 없다면 정상 출근할 수도 있음

Tip
회사 내규(취업규칙, 단체협약 등)를 확인해야 정확합니다.


출근해야 할 경우, 수당은?

만약 5월 2일에 출근해야 한다면,
추가 수당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정리

  • '유급휴일'로 정한 경우 출근 시 통상임금의 1.5배 지급
  • 별도 규정 없으면 통상적인 근로 제공

  • 임시공휴일을 휴일로 인정하는 사업장 → 추가 수당 지급
  • 인정하지 않는 사업장 → 정상근무, 수당 없음

주의!
임시공휴일은 근로기준법상 '법정휴일'은 아니라서 강제 규정이 없습니다.


학교·어린이집·은행은 어떻게 되나?

구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운영 여부
초·중·고등학교 대부분 휴교 예정
어린이집 지자체 재량, 대부분 휴원 가능성
은행 관공서 기준 따라 휴무 가능성 높음(확정 전 지침 확인 필요)

Tip
맞벌이 가정은 어린이집 운영 여부 꼭 미리 체크하세요!


5월 2일 임시공휴일 활용 꿀팁

  • 연차와 연결해서 긴 연휴 즐기기
    (5월 2일 + 5월 3일(토) + 5월 4일(일) = 4일 연휴)
  • 국내 여행, 캠핑, 가족 나들이 계획
  • 건강검진, 관공서 업무 미리 처리하기 (5월 초 대혼잡 예상)
  • 해외여행 시 미리 항공권 예약 (5월 초 인기 폭발)


마치며

5월 2일 임시공휴일,
누구에게는 뜻밖의 황금연휴가 되고,
누구에게는 평소와 같은 출근일이 될 수 있습니다.

  • 나는 쉬는 대상인지?
  • 회사 규정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?
  • 수당은 받을 수 있는지?

미리 체크하고 알차게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.

공휴일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라, 똑똑하게 챙겨야 진짜 내 것이 됩니다!